외부IP, 내부IP 그리고 포트넘버

less than 1 minute read

1. 외부 IP란

인터넷을 설치하게 될때 받는 한개의 고유 IP

외부 IP만 있을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인터넷만 가능하고, 여러개의 컴퓨터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할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당연히 핸드폰 인터넷도 안됨

2. 내부 IP란

즉 외부 IP처럼 하나인경우, 하나의 인터넷만 사용할수 있다.

그렇기에 이 외부 IP를 공유기를 통해서 여러개의 가짜 IP를 만들어 여러 IT기기에서도 접속할수 있게 만듬 그것이 내부 IP라고 한다.

3. 포트 넘버란

외부아이피와 내부아이피 모두 포트번호를 가질수 있는데 , 그 포트번호는 어떠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예를들어 80번은 http , 22번 ssh는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이다.

4. 포트포어딩

내부에서는 내부IP의 서비스에 접속할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외부IP로 갈순 있지만, 내부IP에 접속할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내부 IP에 접속할수 있을까 ?(단 외부 IP에서 내부 IP로 접속을 못하는 이유는 방화벽 때문이므로 방화벽 풀면 내부 IP에 접속은 가능)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외부IP에 1000-1010포트 번호중 그 포트번호에 접속하면 내부IP에 접속할수 있게 지정해놓는다.

이처럼 외부에서 접속 시 어떤 호스트의 어떤 서비스포트에 연결을 해주는지 설정을 해주는 것을 포트포워딩이라 합니다.

포트에 관한 설명

내부 IP 및 외부 IP 그리고 포트포어딩

내부 IP와 외부 IP 쉽게 설명

Tags:

Categories:

Updated:

Leave a comment